|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scrollTo 안됨
- task-definition
- CSR
- restore scroll position
- graphql
- Webpack
- NextJS
- Babel
- 마이크로 프론트엔드
- 세션스토리지
- 환경 레코드
- SAGA 패턴
- useRef
- 무한 스크롤
- 식별자 결정
- Spa
- 비동기 처리
- ESLint
- nvm
- Architecture
- Apollo Server
- Next.js
- Apollo Client
- redux saga
- 타입스크립트
- 변수 섀도잉
- 실행 컨텍스트
- 스코프체이닝
- SSR
- Typescrip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3)
minguri brain is busy
cookie에 set을 할 때 로컬에서는 잘 읽었는데, 운영에서 값이 안가져와지는 현상이 있었다. sameSite 옵션 설정으로 다른 도메인으로 전달 가능하게 해봤으나 되지 않았다. Cookies.set('key', value, { sameSite: 'None' }); 결론 부터 이야기하자면, 현재 내가 운영중인 서비스는 마이크로 아키텍쳐 서비스로 각 모듈별로 서브도메인이 다른 도메인 네임을 갖고있다. ex) home.myservice.com, store.myservice.com.. 로컬에서는 localhost 라는 같은 도메인을 가졌기때문에 모듈간 이동 시에도 쿠키값이 전달이 되었던 것이고 운영에서는 서브도메인이 달라지며 전달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sameSite와 secure 옵션을 설정하고, 운영..
window.addEventListener(event, callback, true); 뒤에 true 인자 넣어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무한 스크롤 리스트에는 뒤로가기를 갔다가 보던 위치를 기억해주는 기능은 UX적으로 필수적이다. 다른 페이지에 갔다가 뒤로가기로 페이지에 돌아올 경우, 더보기로 새로 로드된 데이터는 초기화되고 없으므로 실제로 보던 위치로 돌아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sessionStorage를 사용해서 해결한 방법을 적고자한다. 우선 리스트에서 상품을 클릭할때 sessionStorage에 현재 스크롤 위치와 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 ProductItem.tsx const handleProductClick = async () => { await setScrollDataInStorage(); handleChangeLocation(`${publicRuntimeConfig.config.productHost}/produc..
새로운 방식으로 일해보겠노라 마음먹은 기로에서 던진 여덟 개의 질문들로 구성했다. 퇴사를 앞두고 '지금 어떻게 일하고 있나?' 자신에게 물었고, '뭐부터 시작해야 하지?'라는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일을 꾸미기 시작했다. '무엇을 만들 수 있을까?'라는 물음표 뒤에 모베러웍스라는 브랜드가 만들어졌고, '어떤 태도로 일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우리팀의 존재 이유가 됐다. '어떻게 우리를 알리지?'라는 고민은 새로운 협업 방식인 느슨한 연대를 만들어냈고, '팬을 모을 수 있을까?'라는 자신 없는 물음표는 '모일 수 있다!'는 느낌표로 바뀌었다. '왜 함께 일하나?'라는 질문은 개인의 한계를 뛰어넘는 팀의 위대함을 깨우치게 했으며, 마지막으로 이책을 쓰며 던진 '어떤 팀이 되고 싶은가?'라는 물음을 라는 책 제..
문제 상황 gql.ts query user { user { code status data { userId ... children { id ... tendency { id keyword } interest { id keyword } } } } } 이러한 gql 쿼리문이 있다고 했을 때 같은 Keyword 타입을 사용하는 tendency와 interest의 배열이 섞이는 상황이 발생했다. 순서만 섞이는 것이 아닌 규칙이 없이 섞였고, apollo graphql API sandbox와 네트워크 상에서는 정상적으로 불러와지나 프론트 ui상에서만 섞여서 노출되어서 더욱 혼란스러웠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사실 규칙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해결 결론을 우선 말하자면 Apollo Client 캐싱 관련한 오류였다...
웹팩을 설정해서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지만 빌드할 때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면 원인을 예측하기 어려워 해결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들곤 했다. 프론트엔드 빌드 시스템에 대해 처음부터 정리하고 싶어서 김정한님의 '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강의를 들으며 주요 개념을 익혀보기로 했다. 시리즈 이전글 더보기 1. 2022.07.31 - [FE/개발환경] - 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 NPM 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 NPM 웹팩을 설정해서 프로젝트를 다루고 있지만 빌드할 때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면 원인을 예측하기 어려워 해결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들곤했다. 프론트엔드 빌드 시스템에 대해 처음부터 정리하 minguri.tistory.com 배경 src/math.js: function sum(a, b) { ..
커피타임 갖고 돌아온 사이에 떠난 다마고치1(7세) hungry와 happay지수를 꽉 채워준지 얼마 안 된 것 같아서 더욱 허망하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고민해봤는데 happy지수를 채우려면 간식을 주거나 놀아줘야 하는데 바쁠 때는 놀아주기보다는 간식으로 채워줄 때가 많았다. 너무 간식을 많이 먹였나. 아니면 최근 훈육을 많이 해서 일까도 생각해봤으나, 훈육의 타이밍(주의가 떠있지만 밥 먹이기나 놀이 거부)이 오면 훈육을 하지 않으면 계속 플레이를 해나갈 수 없기 때문에 그 횟수로 죽을 것 같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역시 간식이었나.. 이유가 어찌 됐던.. 다마고치1 아디오스..☆